'꿈'에 해당되는 글 3건

  1. 2007.11.23 27. My Life
  2. 2007.09.08 나의 꿈과 방황 1
  3. 2007.08.15 Nature NeuroScience 2

27. My Life

My SToRY 2007. 11. 23. 23:54 |
사용자 삽입 이미지

JiHoonOh


이 사진보다 잘 나온 사진이 없다니.

27살.
많이 어린 나이지만,
남은 인생동안
나에게 필요한 것은 3가지  뿐이다.

나의 큰 열정과 꿈을 함께할 친구
나의 머릿속을 가득 채워줄 사랑
그리고 가끔 나의 눈을 채워줄  그리움

Nothing is R.e.a.l.l.y. matters.

평생을 함께할 열정과 꿈은 이미 가지고 있다.
누구보다 크고
인류에게 있어 가장 필요하며
그 무엇보다도 중요한
 
우리에 대한 이해.
Big Picture of Yourself.
All about Brain.
&
Real Artificial Intelligence.

그리고 이 꿈을 이해하고 키워나갈 나의 친구.
이 위험한 열정을 조언해줄 나의 Boss.

이들을 얻은 것은 내 인생 가장 큰 행복이다.

---

그리고 이따금 나의 눈을 눈물로 가득 채워줄
그리움
이미 충분히 나를 적시고 있다.

나는 진정한 사랑이 무엇인지 겪었고
왜 그토록 많은 노래가 이별을 울부짖는지 느꼈으며
수많은 시간이 지나도 잊혀지지 않는
가슴 찢어지는 그리움을 얻었다.

슬프고 한없이 우울한 경험이지만
이러한 그리움은 나를 언제나 깨어있고
나의 감정을 메마르지 않게 해준다.

---

마지막으로 이 모든 것들을 위한 것
아름다운 사랑
아직 나를 헤매이게 하고 있다.

나의 꿈과 열정을 이해하고
나의 아픈면을 바라봐주며
비록 내가 아닌 것들을 보고 사랑하게 되었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나 그 자체를 사랑해줄

그런 사랑.

나는 모든 것을 쏟아줄 준비가 되어 있으니.


이 세번째 소망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나의 소중한 꿈과 그리움은
물방울처럼 흩어져
언제나 나를 괴롭게 하고.

어딘가에 있을 My Love.

이제 좀 나에게 모습을 드러내 주길.

2007. 11.23

당신은 어떤 동물을 좋아합니까.
"호랑이"
내 인생에 호랑이를 함께 하고 싶다.

:

나의 꿈과 방황

My SToRY 2007. 9. 8. 00:33 |
사용자 삽입 이미지


  꿈이 없는 사람은 언제나 방황한다.
  아직 26살밖에 안된 내가 건방지게 내린 세상에 대한 관찰 결과이다.

  꿈이 거창할 필요는 없다.
  나의 조그만 구멍가게를 가지는 것.
  학교에서 장학금을 타는 것.
  나만의 집을 가지는 것.
 
  이런 평범한 꿈들도 모두 소중하다.

  하지만 이렇게
  꿈이 간단하고 구체적이고 단기적일 수록
  우리는 쉽게 꿈의 빈자리를 느끼게 된다.

  나는 방황하는 사람을 많이 보았고
  나 스스로도 많이 방황하고 있다. (비록 아직 정신만 방황중이지만.)

  안타깝게도 남자들에게서 방황은
  주로 여성이나 성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잘나가는 전문직 남성일 수록 밤문화에 쉽게 탐닉하는 것도
  모두 꿈의 빈자리가 만들어낸 결과물이다.
  그리고 능력있는 남성일 수록 꿈의 빈자리는 더 크게 나타난다.
 
  꿈의 빈자리는 방황을 불러오고
  사랑했던 한 연인을 갈라놓고
  나도 모르는 사이 나를 추하게 만들고
  나를 가치없는 사람으로 추락시킨다.

  그래서

  꿈은 최대한 크고 추상적이며 이루기 힘들어야 한다.
  내 모든 것을 쏟아야 이뤄질 수 있을 정도로 크고
  내 모든 것을 쏟아 이루고 나서도 이루었는지 고민할 정도로 추상적이어야 하며
  다른 생각이 들지 않을 정도로 어려운 꿈이어야 한다.

  이런 어려운 상대를 인생의 목표로 정하게 되면
  비로소 우리는 방황하지 않고 하나에 집중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자신이 잘 할 수 있는 분야에서 정해야 겠지만.
  (나에게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공격수가 되야겠다는 꿈은 어울리지 않잖아.)

  예를 들어 의학을 공부하고 있다면,
  적어도 내 본교의 외과에서 케이스나 연구에서 탑이 되는
  의사가 되겠다는 포부를 가져야 한다.

  탑이라는 개념이 추상적이어서 좋고,
  본교 교수가 되는게 매우 어려우므로 힘든 꿈이며,
  설령 탑이 되더라도 내가 정말 탑인가 긴가민가해서 꿈이 끝나기가 쉽지 않다.

  반면, 그냥 개업해서 돈을 많이 벌겠다는 꿈은
  어렵지만,
  꿈이 개인적이라 크기가 작으며
  너무 구체적이어서 이루고 나면 허무해진다.


  그래서 맞이하게된 나의 꿈

  brain의 근본 원리를 증명해내고,
  이를 이용해 Real Artificial Intelligence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꿈은
  내가 100번을 연달아 살아도 이루기 어려울 정도로 어렵고
  증명이라는 것 자체가 추상적이어서 좋고
  Real AI를 개발한다는 것 자체가 수조달러의 시장을 창출하는 엄청나게 큰 꿈이다.

  남자가 이정도는 꿈이 되야
  평생 방황하지 않고 살 수 있겠지.

  능력을 가진자가 방황하면 더 무서워지는 법이다.
  그래서 내 꿈은 누구보다 크다.

  우리들 누구에 못지 않게 힘든 과정을 겪고 있지만
  그래도 내 꿈은 아직 누구보다 크다.

  그리고 나의 꿈을 함께 하진 못하더라도
  나의 꿈을 이해해줄 사람이 곁에 있다면 더욱 좋겠지.
  서로가 상대의 꿈을 진심으로 존중하는 것.
  나는 사랑하는 사이에 이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사나이여 !
  꿈은 최대한 크고 추상적이며 어려운 것을 택하라 !
  대신 꿈을 위한 노력은 최대한 작고 구체적이며 쉬운것부터 실행하라!


 
 
:

Nature NeuroScience

Neuroscience 2007. 8. 15. 00:06 |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연구를 해보겠다는 사람들은 누구나 꿈꾸는 곳  Nature.

  온갖 소문이 난무하는 곳 Nature.

  그림이 이쁘면 실린다는 미확인 소문부터

  한번 타면 다음 티켓은 할인된다는 그럴듯한 소문까지.

  서울 고속터미널 근처의 어느 대학에선 이곳에 논문을 실으면 편당 1억을 준다는
 
  솔깃한 사실까지.

 
  이곳은 아이디어로 승부하는 마케팅의 세계다.

  나의 아이디어를 지지하는 실험을 설계하고,
 
  실험의 결과를 떨리는 마음으로 살피고,

  수많은 곳에서 얼토당토 않게 날아오는 돌들을 디펜스하며,

  elegant한 짜임새로 논문을 구성하면,

  이곳에 도전해볼 만 하다.

 
  무엇보다 Trend에 맞는 새로운 생각이 중요하다.

  세상은 언제나 새로운 것만을 인정하며

  새로운 것만이 힘을 가진다.

 
  지금.

  Nature를 향한 꿈이 마냥 공상은 아님에 나는 행복하다.

  이 허황된 꿈이 나를 온갖 어려움에서 지탱해주는 단 하나의 행복이다.

  불쌍한 나의 청춘을 이를 위해 덤비었다면,

  나중에 그래도 조금이나마 위로가 되겠지.

 

  
  일장 춘몽에 빠져 있구나.

  꿈인 줄 알면서도 언제나 깰 수 있을까.
: